분류 전체보기

· IT/Spring
인프런에서 '실전!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-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' (https://inf.run/hhEvV) 을 수강하면서 간단한 프로그램 하나를 만들고 있다. 실습에서는 회원등록시 이름이 null이면 input창 아래 안내메세지가 뜬다. 이를 상품등록에도 똑같이 적용하고자 시도한 결과, 에러가 발생한다. 값이 모두 입력하여 등록시 문제가 없으나. @Valid 처리한 '상품명'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 에러가 발생한다. 강사님이 적용한거랑 동일하게 적용했는데 왜 에러가 날까😥 한창을 구글링하다가 결국은 이 강의의 김영한쌤이 어떤 질문에 답변을 해주신 큐앤에이를 보고 해결. 나와 똑같이 시도한 사람이 있었던 것이다..! 문제) 문제의 원인은 Attribute의 키값이 맞지 않아서 발생한 에러다. → ..
· IT/React
function BoardSettingView() { const{bbsStngId} = useParams(); const navigate = useNavigate(); const goAdminBoardPage = () => { navigate("/admin/boardSetting"); }; const goBoardAmendPage = (bbsStngId) => { navigate("/admin/boardSetting/boardAmend", {state : {"addOrAmend" : "amend", "bbsStngId" : bbsStngId}}); }; return ( 목록 수정 ); onClick 에 변수가 들어간 함수는 우선적으로 실행되버린다. 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계속 goBoardAmendPag..
· IT/etc
이 프로젝트는 폐쇠망으로 특정 모듈들을 Nexus에서 모아두고 사용하고 있다. 원인은 Maven 3.8.1 버전부터 http에 대한 외부 연결을 막는 설정이 default로 변경되었기에 이를 수정해주면 된다. 💡 해결방법 현재 사용하고 있는 nexus를 https로 변경해주거나, maven의 settings.xml에 http 에도 연결되게끔 설정을 변경한다. C:\Users\[사용자계정]\.m2 폴더에 settings.xml 파일을 생성 후 아래 내용 입력한다. 출처 https://bkjeon1614.tistory.com/700 https://dejavuhyo.github.io/posts/maven-blocked-the-mirror-error/
· IT/Docker
익숙치않은 docker. 경험해본건 모조리 적어보자 😶 도커로 띄운 mariadb 에 접속하여 현재 테이블들과 데이터들을 조회한다. 우선 현재 실행중인 도커 리스트를 확인한다. docker ps 띄워져있는 서버를 확인한 후, 컨테이너ID를 입력하여 접속한다. docker exec -it [컨테이너ID] [사용할 명령어] root 계정으로 접속 후 띄운 yaml 파일에 적혀있는 MARIADB_ROOT_PASSWORD 를 패스워드로 입력한다. 데이터 베이스 확인하여 사용하기. 이렇게 사용하고 있으니 선배가 DBeaver 사용하는게 어떻겠냐고 조언해주셔서 DBeaver로 연결 완 😗
· IT/Spring
DTO와 Entity 분리에 이어 (https://hellotaja.tistory.com/8) 그렇다면 Entity to DTO, DTO to Entity 방식에 무엇이 있는지 조사하여 의견을 드려보자. DTO와 Entity 변환 방식 종류 ObjectMapper 이전 프로젝트에서 사용했던 방식. Model Mapper 출처 : https://lucas-owner.tistory.com/19 https://dbbymoon.tistory.com/4 수천 TPS 경우에는 동시성 성능이슈 있음. 변환과정에서 리플렉션(구체적인 클래스 타입을 알지 못해도 그 클래스의 메소드, 타입, 변수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자바 API)이 발생한다는 단점. MapStruct 출처 : https://velog.io/@mus..
· IT/Spring
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면서, DTO와 Entity간의 매핑방식에 대해 고민해보는 시간이 주어졌다.그리하여 조사과정과 결론도출까지의 과정을 기록해보려고 한다.이후에 실제 프로젝트가 어떤 방식을 채택했는지에 대해 남길만한 내용이 있다면 이어 블로그를 남기도록 하겠다!Entity 과 DTO 분리해야할까?경력직으로 오신 선배분은 DTO없이 개발했던 경우도 있었다고 말씀하시기도 해서 분리의 필요성에 대해 먼저 생각해보았다.DTO를 Entity와 분리하여 사용할 때 DTO 내에 Entity로 매핑하는 코드가 길어져 간결하지 않게 느낄 수 있을 것 같다. 출처 : https://velog.io/@langoustine/Entity-말고-DTO를-쓰라고spring에서 JPA를 이용하게 되면 Entity는 단순히 ..
cleoisdev
'분류 전체보기' 카테고리의 글 목록